2021. 3. 6. 01:28ㆍcoding
git 너무 어려워서 git 명령어로 안 하고 항상 홈페이지에서 직접 drag & drop 으로 파일 업로드하곤 했는데 ..
그렇게 업로드하는데는 파일 크기에 제한이 있더라
큰 파일 올리려고 어쩔 수 없이 git에 도전하게 되었다 .........
전에 분명 배웠는데.. 정리한 메모를 잃어버려서 내 기억도 잃어버렸다
1. terminal에서 git과 연동하고 싶은 directory로 이동한다
2. git init 실행하면 .git 파일이 생긴다
3. git status로 상태 확인 (untracked files 확인)
4. git pull --rebase origin main, add 하기 전에 pull 먼저 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있네
5. git add <filename>, 한 번에 다 추가하고 싶으면 git add .
6. git commit -m '아무 메시지'
7. git push --set-upstream origin master, github 로그인하라고 뜨면 로그인하면 됨. 근데 새로운 창 떠서 로그인하면 계속 Logon failed래. 다시 한 번 기회를 줘서 terminal에 아이디, 비번 치면 또 로그인이 된다. 왜 저러는건지?
아 짜증나
error: RPC failed; curl 92 HTTP/2 stream 0 was not closed cleanly: Unknown error code (err 8)
이런게 떠서 찾아보니 또 파일 크기 때문이라네
git config --global http.postBuffer 524288000
이걸로 버퍼 사이즈 늘려주고 push 하면 될 줄 알았는데!!!!!! 또 안돼!
이번엔 파일 크기 때문이라면서 lfs를 써보라고 제안까지 해준다
손수 알려준 url로 가서 git-lfs.github.com/
git lfs install
git lfs track <엄청 커서 나를 잠 못자게 하는 짜증나는 파일의 이름>
add, commit ....
다시 push를 해준다 ... 제발 ..
어느 순간부터 코딩하다가 기도를 하게 된다
또 안 됨 ;;
이 글을 읽어보니까
지금까지 git lfs 설치도 안 하고 무작정 따라한건가보다;;
1. git lfs 설치하기 https://github.com/git-lfs/git-lfs/releases/download/v2.11.0/git-lfs-windows-v2.11.0.exe
2. git lfs install
3. git lfs track <엄청 큰 파일 이름>
4. git add .gitattributes
5. git add <엄청 큰 파일 이름>
6. git commit -m '기쁨의 커밋 메시지'
7. git push origin main
* main과 master가 뭔 차이인지 모르겠다
* 뭔가 잘 안 되면 -f force 옵션 주면.. 된다.. rebase 때문이라는데 이해 못함 ㅋ
이것도 또 안 돼서 다른 stackoverflow 글을 참고했다. 그 글은 어디갔는지 링크 까먹음
1. git lfs migrate info
2. git lfs migrate import --include="*.bin"
3. git push origin main -f
드디어 진짜진짜 성공
'co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용한 코딩 단축키 모음 (0) | 2021.04.08 |
---|---|
남의 github repo에 기여하기 (0) | 2021.04.05 |
expo와 구름IDE로 모바일 어플 만들기 (0) | 2021.03.04 |
[Streamlit] python 지식만으로 웹사이트 만들기 (1) | 2020.11.12 |
[rclone] command line에서 서버 파일을 google drive로 옮기기 (0) | 2020.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