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설검정(3)
-
18. 회귀분석 III
SNUON 통계학 18-1. 회귀모형에 관한 추론 추론 1) 가설검정 : 기울기가 0이냐 아니냐? 2) 신뢰구간 : 기울기가 어떤 범위 안에 속하냐? * 추정치의 불확실성 Nature or nurture? - 일란성 쌍둥이를 연구하여 지능의 유전적 영향에 대해 연구 - 양부모에 의해 길러진 쌍둥이와 생물학적 쌍둥이 27쌍의 지능을 나타낸다 - x축 : 생물학적 IQ - y축 : 양부모에 의해 길러진 쌍둥이의 IQ Testing for the slope 이 연구에서 사용된 27쌍 쌍둥이가 출생 시 떨어져서 양육된 쌍둥이를 대표하는 표본이라고 가정하자. 우리는 생물학적 쌍둥이를 이용하여 양부모하의 IQ를 예측할 수 있는지에 관심이 있다(유전적으로 지능 모두 설명 가능). 이 경우에 적절한 가설검정은? - H..
2020.01.15 -
9. Resampling과 가설검정
SNUON 통계학 9-1. Resampling (Bootstrap) Resampling - 신뢰구간을 유도하는 과정은 중심극한정리에 의존한다 - 만약 우리가 분산, 혹은 변동계수 (표준편차 ÷ 평균)의 신뢰구간을 구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방법 1 : 분산(변동계수)의 추정치인 표본분산 (표본 변동계수) 를 구한 후 추정치의 sampling distribution을 이론적으로 계산한 후 이를 바탕으로 신뢰구간을 구한다 - 방법 2 : 방법 1과 같은 방식을 사용하지만 sampling distribution을 bootstrap을 사용해 구한다 - 이론적으로 sampling distribution을 알 수 없다면 어떻게 sampling distribution을 알아낼 수 있을까? - 만약 우리가 ..
2019.12.18 -
3. 자료의 유형과 사례연구
SNUON 통계학 강의 + 학교 수업내용 일부 3-1 수치형 자료 Numerical Data 1. Scatterplot(산점도) : 수치형 데이터 사이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데 유용하다 2. Dot Plot : 하나의 수치형 데이터의 시각화에 효과적이다. 진한 색깔은 관측치가 보다 많은 부분을 나타낸다 3. Stacked Dot Plot : 색깔로 관측치의 개수를 표현하는 대신 관측치를 그 위치에 개수만큼 쌓아 놓는 방식으로 표현한다 4. Histogram : 자료의 밀도를 나타내는데 사용한다. binwidth에 따라 자료의 형태가 달라질수 있음에 유의 cf) Stacked Dot Plot과의 차이점 : 모든 데이터가 아니라, 구간을 정해서 그 구간의 데이터를 나타냄 5. Box Plot : Q1,..
2019.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