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밈으로 보는 언어학] 신조어 형성과 재분석, 금수저와 근수저

2020. 5. 22. 16:09linguistics

반응형

 

재분석이란 단어의 내부 구조를 재해석하여 새로운 형태소를 생성하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예시가 햄버거Hamburger 

독일의 도시 함부르크에서 온 말인데, 사람들이 Hamburg(함부르크) + -er 가 아니라 Ham(먹는 햄) + burger 로 재분석했다. 

그래서 burger 라는 말이 탄생했고 치즈버거, 새우버거 등등이 생겨났다. 

 

1) 금수저 은수저 근수저 홀수저

 

 

'금수저'라는 신조어가 등장하고 나서, 다양한 수저들이 등장했다. 

요즘은 근육량을 타고 났다는 의미의 '근수저'도 있고 (민경장군)

우리 학교 내에선 '홀수저'라는 말도 있다. 홀수 학번은 수강신청이 약간 불리해서 생긴 말이었다.

'금수저'에서 '수저'는 우리가 밥 먹을 때 쓰는 수저를 뜻할 것이다. 숟가락, 젓가락 등등. 이런 수저들을 금으로 쓸 만큼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는 뜻이니까.

그런데 근수저, 홀수저 등등에서는 밥 먹을 때 쓰는 수저의 의미라기 보단, '금수저'에 나타난 '타고났다'의 의미에 가깝다.

'개인이 어찌할 수 없이 그냥 랜덤으로 타고난 운명' 정도의 의미.

'-수저'가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되어 접미사로 활용되고 있는 듯하다. 

 

2) 티켓팅 포켓팅 북켓팅 

 

 

'-켓팅'도 '-수저'처럼 신조어를 만드는 접미사처럼 활용된다. 

원래 (일반적으로 엄청 힘들게) 티켓을 구매하는 행위를 티켓팅이라고 했다. 

그래서 (굳이 한글로 쓰지만) '티켓+팅?'으로 분석되어야 하겠지만 '-켓팅'을 하나의 접미사로 재분석한 것으로 보인다.

얼마전 싼 값에 대량으로 판매하는 감자를 구매하기 어려워서 '포켓팅'(포테이토의 '포')이라 표현하기도 했고

[그냥 사람들이 많이 몰려서 사기 어려운 것] + '-켓팅' 이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구조로 굳어진 듯하다~~~~

 

 

반응형